본문 바로가기

IT/라즈베리파이

SJVA 0.2 설치 (Feat.라즈베리파이3)

반응형

2020.01.10 SJVA 0.2 버전에 맞게 일부 내용 수정합니다. 

설치/사용중 했던 뻘짓을 똑같이 할 초보분들께 도움을 드리고자 작성함.

처음엔 블로그에 올릴 생각이 없어서 설치과정을 캡쳐해두진 않았고 기억에 의존하여 뇌피셜로,,,,,,

 

이 자리를 빌어 제작해주신 소주6잔님께 다시한번 감사말씀 드립니다. 

 

 

 

 

 

아는사람은 이미 다 아는 SJVA : SJ(SOJU) VIDEO ASSISTANT.

https://soju6jan.com/

 

 

최근 통신3사 IPTV암호화가 가속화되며 TVHEADEND 활용도가 바닥을 치고 있는 상황에 등장한 구세주다.

미디어 생활을 한층 윤택하게 만들어주는 마법같은 툴임.

 

클리앙 유저분들은 많이들 아시겠지만 유사한 제품으로 SHOWDOWN이 있는데

출시(?)초에만 해도 난 이런데는 전혀 관심이 없었다.

그땐 여전히 TVH로 내가 원하는대로 녹화를 했었고 epg도 문제가 없었던걸로 기억.....

 

아무튼...이제는 tvh를 버리고 (스크쪽은 아직 많이 막힌것 같진 않지만 곧 버리게 될듯) 새로운 길을 찾아야 했고

그와중에 쇼다운과 sjva, torrssen2 등 많은 대체제들이 나를 유혹했고 그중 우선 선택한것이 sjva다.

 

 

SJVA를 한마디로 정의하긴 좀 그렇고.

내가 사용하는 주요 기능으로는

 

  • 토렌트 사이트별 RSS FEED 자동생성 및 트랜스미션 or 다운로드스테이션으로 다운로드 연계
  • 다운로드한 파일을 규칙에 따라 분류 및 이동 (PLEX 사용한다면 라이브러리 폴더로 자동이동)
  • PLEX 연동하여 빈 에피소드 자동다운로드 (!!!!)
    (아직 이건 구현되는지 확인하지 못했다. 물론 나의 설정상 오류일 가능성이 크지만....)
  • 규칙에 따른 영화 자동 다운로드 (토렌트 사이트에 올라오는 족족 다운. 물론 조건에 맞을 경우)
  • 텔레그램과 연동하여 RSS / 자동다운로드 등 SJVA에서 일어나는 전반을 알람으로 수신
    (텔레그램에서 다운로드 추가를 바로 할 수 있다는걸로 봤는데, 아직 확인불가)

그 밖에 사용은 안하지만 매력적인 기능으로는

  • POOQ, TVING을 사용한다면 권한이 닿는한 영상 저장이 가능한듯 함. 안써봐서 자세히는....
  • TVHEADEND 기능지원. 역시 POOQ 등을 사용한다면 실시간 방송을 이쪽으로 연결해서 방송시청이 가능한듯 하다.
  • RCLONE / GD 연동. 나에겐 해당사항 없는 내용. 구글드라이브등 클라우드 사용자들에겐 좋은 기능으로 보임

 

설치는 개인취향대로 하면 되지만 개인적으론 도커가 편하지 않을까 생각함.

다들 집에 놀고 있는 라즈베리파이 하나씩은 있으실테니 라즈베리파이에다 올리기로 하고

(아니면 다들 집에 시놀 한대씩은 다 있으신가봅니다? 대부분 시놀에 도커로 올리시던데 ㅠㅠ 전 없네요)

 

① 라즈비안 설치 (라즈비안 설치방법은 검색해보시면 많이 나옵니다)

https://www.raspberrypi.org/downloads/raspbian/ 

 

Download Raspbian for Raspberry Pi

Raspbian is the Foundation's official supported operating system. You can install it with NOOBS or download the image below.

www.raspberrypi.org

소주님 블로그에는 Raspbian Stretch with desktop and recommended software으로 설치하셨다고 되어있으나

검색해보니 굳이 desktop 까지도 필요해보이진 않았지만,

라즈베리파이 초기 세팅을 위해선 gui 환경이 더 나으니 현재(2019.10.10)기준 최신버전 with desktop 으로 설치

 

이후 라즈베리파이 초기 세팅진행.

 

 

② 도커 설치 (역시 검색신공)

https://www.boolsee.pe.kr/raspberry-pi-%EC%97%90%EC%84%9C-docker-%EC%84%A4%EC%B9%98%EC%99%80-%EC%8B%A4%ED%96%89%ED%95%98%EA%B8%B0/

 

Raspberry PI 에서 docker 설치와 실행하기 - Seongho's SE & IT Life

집에서 사용하는 Linux용 PC 는 없고, Mac Mini (High Sierra) 에서의 docker 는 이러저러한 제약이 있다는 것을 알고서는 Raspberry PI (이하, RPi) 를 이용해서 docker 를 설치해 보고자 합니다. 1. 사용 기기 H/W: Raspberry Pi 2 Model B Rev 1.1 OS: Raspbian GNU/Linux 8 (jessie) Kernel v4.9.35-v7+ 2. Docker 설치 script 를 다

www.boolsee.pe.kr

-- root로 설치권장. 나중에 pi 계정을 도커그룹에 포함시켜사용하기도 함
curl -fsSL get.docker.com -o get-docker.sh
chmod 777 get-docker.sh
./get-docker.sh

ps auwx|grep docker

 

③ 도커 이미지 pull

https://soju6jan.com/archives/420

 

Raspberry pi 설치

라즈베리파이에서의 설치방법입니다.https://www.raspberrypi.org/downloads/raspbian/ Raspbian Stretch with desktop and recommended software 버전으로 이미지 올린 후 한글 설정만 한 상태에서 진행했습니다 네이티브 재시작시 rclone이 x86 버전으로 바뀌는 문제가 있습니다.SJV

soju6jan.com

-- docker pull soju6jan/sjva:0.1.2-arm32v7
-- 버전변경
docker pull soju6jan/sjva:0.2-arm32v7

자세한 내용은 소주님 블로그 라즈베리파이 설치법을 참고하여 진행. (rclone은 나에게 해당사항이 없어서 진행하지 않음)

 

 

④ 도커 실행 (run)

도커 실행명령은 본인환경에 맞게 수정해야함.

docker run --name sjva -p 9998:9999 -v /root/SJVA_docker:/app/data -v /:/host soju6jan/sjva:0.2-arm32 


- name : 도커 컨테이너 이름
- p : 포트정보 9999는 내부포트이니 건들면 안됨.

      9998쪽은 원하는대로 수정가능하며 포트포워딩 정도로 생각하면 될듯.
- v : 도커볼륨정보.  host의 /root/sjva_docker와 컨테이너의 /app/data 간 데이터공유를 위한 설정으로 보임

 

도커 볼륨 관련해서는 아래블로그 참고했음.

https://jungwoon.github.io/docker/2019/01/13/Docker-3/

 

Docker 정리 #3 (도커 볼륨) - Jungwoon Blog

Docker 정리 #3 최근에 쿠버네티스를 공부할 일이 있어서 보고 있는데, 쿠버네티스 자체가 도커(Docker) 오케스트레이션을 해주는 툴이라 도커에 대한 개념이 없으니, 공부하기가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급하게 책을 사서 공부하면서 내용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해당 내용은 위키북스에서 나온 시작하세요! 도커 책을 보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책의 내용이 매우 좋아서 강추합니다. 도커의 이미지로 컨테이너를 생성하면 이미지는 읽기 전용이라 쓰기가 불가능

jungwoon.github.io

[ 도커 볼륨관련 ]

당연하겠지만, run 명령 실행전 host쪽에 mkdir로 폴더생성을 해줘야함.

 

내 환경에 맞게 최종적으로 수정한 실행명령

docker run --name sjva -p 19999:9999 -v /root/docker_sjva:/app/data -v /:/host soju6jan/sjva:0.2-arm32v7

 

관련 사항을 숙지하고 적당히 수정했다고 생각했는데, 이미지를 찾을수 없다는둥 자꾸 에러를 뱉는다. 

이유는 알수 없었지만, 몇번 재시도 하니 되긴함.

단순히 명령어만 반복해서 몇 번 더 쳤을뿐임..진짜임.

 

도커 실행이 정상적으로 됐다면................

[ 도커로 올려둔 SJVA. 최종적으로는 PLEX 서버와 TORRSSEN2까지 올려두었다 ]

docker ps로 확인해봤을때 위 그림처럼 나온다면 브라우저로 접속이 가능할 것이다.

 

⑤ 접속

http://localhost:19999 (나의 경우 192.168.28.219:19999)

현재 초기계정과 비번은 sjva / sjva 이다. 

(기본사항에 admin이라고 되어있는게 있지만 훼이크다.)

 

 

⑥ 초기설정

접속후 아무 메뉴도 없다고 좌절하지 말 것.

가장먼저 해야할 일은 나에게 필요한 메뉴를 활성화 하는 것이다.

 

[ 메뉴 활성화 ]

여기까지가 초기설정이지만 여기까지 와봤자 아직 되는건 아무것도 없을것이다.

이후 내용은 다음 포스팅에서...

 

반응형